효사상과 인간관계-부모와 자녀, 부부, 형과 아우, 선배와 후배, 이웃
페이지 정보
작성일 20-06-09 16:26
본문
Download : 효사상과 인간관계-부모와 자녀, 부부.hwp
이웃 간에는 옆집에 사는 사람이 누구인지조차 모르며 삭막하게 살아가며 더 나아가 옆집의 사람이 죽었음에도 그 사실 조차 모르고 방치하게 되는 사건들도 일어나고 있다. 가장 대표적인 인간관계로는 부모와 자녀, 부부, 형제, 선후배 더 나아가 이웃 간의 관계가 있다.순서
효사상과 인간관계-부모와 자녀, 부부, 형과 아우, 선배와 후배, 이웃
이 때문에 오늘
효사상과 인간관계-부모와 자녀, 부부, 형과 아우, 선배와 후배, 이웃 효사상과 인간관계-부모와 자녀, 부부, 형과 아우, 선배와 후배, 이웃
.
레포트 > 인문,어학계열





사람들은 사회 안에서 수많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. 그들은 부모에 대한 자녀의 의무를 선결 조건으로 내세운 것이 아니라. 자녀에 대한 부모의 본보기가 먼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. 이것이 부모가 자녀에게 잘 해주기 때문에 자녀 역시 부모에게 잘 해야 한다는 식의 조건적인 내용으로 받아들여 질 수도 있지만, 좀 더 근원적인 측면으로 바라볼 경우에 부모에 대한 자녀의 자발적인 감사심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. 그들은 자녀에 대한 부모의 태도를 수직적인 일방적 관계가 아니라 인격적인 모습으로 상정한다. 이철승,[초기 유가 사상에 나타난 ‘장유유서(長幼有序)’관의 현실적 의미],《유교문화연구》제13집,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, 2008 , 10쪽 인용
Ⅱ. 본론
1. 부모와 자녀의 관계
효사상과 인간관계-부모와 자녀, 부부, 형과 아우, 선배와 후배, 이웃
설명
그런데 부모와 자녀 관계에서 초기 유학의 이러한 인격적인 관계는 한나라 때 절대왕권 확립의 필요에 의해 제기된 삼강(三綱) 사상으로 인해 수직적 관계로 변한다.
.
Download : 효사상과 인간관계-부모와 자녀, 부부.hwp( 40 )
유가의 효시인 공자와 공자의 뜻을 계승하고자 했던 맹자를 중심으로 하는 초기 유학은 부모와 자녀 사이를 사랑의 관계로 설정한다. 그들은 부모와 자녀 가운데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에게 강요하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, 애정과 배려가 전제되는 호혜적인 관계로 설정한다. 이철승,[초기 유가 사상에 나타난 ‘장유유서(長幼有序)’관의 현실적 의미],《유교문화연구》제13집,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, 2008, 13쪽 인용
또한 그들은 무조건적이면서 무제한적인 부모의 사랑에 대한 자녀의 보응을 효로 여긴다. 선후배 관계 또한 마찬가지로 선배가 후배에게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술 문화로 인한 사망사건과 같은 문제가 계속 일어나고 있다. 예를 들면 가정 내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싸움이 빈번히 일어나고 이혼율도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. 사회가 빠르게 변해가면서 이러한 인간관계 또한 변해가고 있는데 이러한 급격한 alteration(변화) 로 인하여 그에 따른 問題點도 생겨나고 있다. 그들은 자녀에 대한 부모의 권위주의적인 태도나 폭력적인 자세를 허용하지 않는다. 진실한 마음으로 공경함을 가지고 봉양하는 것을 효의 진정한 덕목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철승,[초기 유가 사상에 나타난 ‘장유유서(長幼有序)’관의 현실적 의미],《유교문화연구》제13집,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, 2008, 11쪽 인용
.
효사상과 인간관계-부모와 자녀, 부부, 형과 아우, 선배와 후배, 이웃
효사상과 인간관계-부모와 자녀, 부부, 형과 아우, 선배와 후배, 이웃
효사상과 인간관계-부모와 자녀, 부부, 형과 아우, 선배와 후배, 이웃
다.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단순히 물질적으로 봉양하는 행위로의 효를 비판한다. 이러한 현대 사회 인간관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전히 현대에도 우리에게 큰 effect을 미치고 있는 유교 윤리에서는 그 질서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. 그들은 부모가 부모다울 때. 비로소 자녀 역시 자녀다울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.